1) 혈청학적인 검사법( 보체의존성 미세림프구 세포독성법 )
- 고가의 장비가 필요 없는 손쉬운 검사법- 저해상도의 결과, 안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양질의 혈청 필요.
- 대용량의 혈액과 살아있는 림프구 필요.
- 다른 인종에서 발견되는 희귀 항원을 탐지하기 위한 양질의 혈청 확보 어려움.
- 표준화된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, 현재는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으로 대체
2) 분자생물학적인 검사법
- 대표적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.
- 대부분의 분자생물학적인 검사 시 양질의 genomic DNA 필요.
- 사용할 프라머의 여유분 필요
- 대립유전자의 시퀸스를 알아야 한다.
- 발전 속도가 빠르며 여러 연구소에서 검사법으로 이용
- 종류
- SSO: sequence specific oligonucleotide
- reverse SSO hybridization
- RFLP: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
- SSCP: sequence specific conformational polymorphism
- SSP: sequence specific primer
- SBT: sequence-based typing
- 최근 SPREX DNA chip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자체 개발하여 HLA 검사에 이용
3) NGS기법을 이용한 고해상도 HLA검사

4) HLA검사의 이용
장기이식 (간,신장 등.)골수이식, 조혈모세포이식
질병연관성 연구(강직성 척추염 & B27)
친자감별
법의학적 이용
유전학적 연구(인류학 연구)